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고사성어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by 김밥 튀김 국수 떡볶이 2024. 6. 10.
728x90
반응형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는 중국의 고사성어로, 작은 차이는 있지만 큰 차이로 볼 수 없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이 성어는 주로 비슷한 잘못이나 상황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중국의 고전인 『맹자(孟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로, 그의 저서에는 많은 교훈적인 이야기들이 담겨 있습니다.

'오십보백보'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느 날 맹자는 제(齊)나라의 양혜왕(梁惠王)과 대화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양혜왕은 자신의 통치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맹자는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려주었습니다.

"전쟁터에서 병사들이 패하여 도망치는데, 어떤 이는 50보(步) 도망가고, 어떤 이는 100보 도망쳤다고 합시다. 그러면 50보 도망친 병사가 100보 도망친 병사를 비웃을 수 있겠습니까?"

양혜왕은 "당연히 비웃을 수 없습니다.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니까요."라고 대답했습니다. 맹자는 "바로 그것입니다. 지금 왕께서 다른 나라를 비웃을 수 없는 이유도 같습니다. 비록 왕께서 다른 나라보다 조금 더 잘한다고 생각할지라도,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상황에서의 사소한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오십보백보'는 따라서, 본질적으로 같은 잘못이나 상황을 두고 사소한 차이를 가지고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점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나 직장에서, 혹은 사회적 문제를 논할 때 자주 인용되는 고사성어입니다.

728x90
반응형